728x90
반응형
1. 최저임금
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 이는 전년 대비 170원(1.7%) 인상된 금액입니다.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급으로 환산하면 2,096,270원입니다.
2. 공무원 봉급
2025년 공무원 보수는 전 직급에 대해 3% 인상되었습니다. 예를 들어, 2024년 기준 9급 1호봉의 월급은 1,877,000원이었으나, 2025년에는 1,933,31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자세한 공무원 봉급표는 인사혁신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3. 민간 기업 연봉
민간 기업의 연봉은 업종, 기업 규모, 직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책정됩니다. 일반적으로 최저임금 인상률, 물가 상승률, 기업의 재무 상황 등을 고려하여 연봉 인상률이 결정됩니다. 따라서 정확한 연봉 정보는 각 기업의 인사 담당 부서나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📌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(단위: 원)
(4대 보험료 및 소득세 공제 후 예상 실수령액)
연봉(세전)월급(세전)월 실수령액(세후, 약)
2,400만 원 | 200만 원 | 약 189만 원 |
3,000만 원 | 250만 원 | 약 230만 원 |
3,600만 원 | 300만 원 | 약 274만 원 |
4,200만 원 | 350만 원 | 약 316만 원 |
4,800만 원 | 400만 원 | 약 358만 원 |
5,400만 원 | 450만 원 | 약 399만 원 |
6,000만 원 | 500만 원 | 약 439만 원 |
7,000만 원 | 583만 원 | 약 505만 원 |
8,000만 원 | 666만 원 | 약 569만 원 |
9,000만 원 | 750만 원 | 약 633만 원 |
1억 원 | 833만 원 | 약 696만 원 |
💡 실수령액은 4대 보험(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보험)과 소득세, 지방세 등을 제외한 금액.
공제 금액은 근로자 공제, 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잇음.
📌 더 정확한 실수령액이 궁금하면?
부양가족 수, 세액공제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지니까 월급 계산기를 활용하면 좋음.
728x90
반응형